산삐아노의 꿈놀이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산삐아노의 꿈놀이터

메뉴 리스트

  • Home
  • Guest
  • 글쓰기
  • 관리
  • 분류 전체보기 (2267)
    • 사노라면 (451)
      • 동네의 변화 (27)
      • 변화의 매혹 (39)
    • 웃으면복이와요 (12)
    • 메리크리스마스 (62)
    • 나들이예찬 (456)
      • 동네나들이 (286)
      • 나라안나들이 (72)
      • 나라밖나들이 (60)
      • 그 산길을 따라 (15)
      • 도시의 섬 (11)
      • 먹고마시고자고 (12)
    • 볼영화는많다 (503)
      • 상상의힘 (118)
      • 유머 (45)
      • 감독 (53)
      • 배우 (84)
      • 장소 (18)
      • 시대 (16)
      • 원작 (24)
      • 음악춤그림 (4)
      • 애니 (32)
      • 성적 다양성 (36)
    • 고양이가좋아 (236)
      • 우리 아파트 고양이 (27)
      • 직접만난고양이 (123)
      • 책-그림-사진-영화 속 고양이 (54)
      • 고양이소재물건 (29)
    • 즐거운책벌레 (262)
      • 여행걷기 (13)
      • 에세이 (77)
      • 만화 (5)
      • 역사 (3)
      • 소설 (138)
      • 예술 (7)
      • 그림책 (3)
    • 먹는 행복 (150)
      • 아침식사 (7)
      • 점심 저녁식사 (85)
      • 간식 브런치 디저트 (33)
      • 대접받은채식요리 (12)
      • 차 (12)
    • 재활용의지혜 (23)
      • 종이공작 (4)
      • 바느질 (11)
    • 놀고배우고 (43)
      • 음악과 더불어 (0)
      • 흙그릇 (2)
      • 녹색손 (25)
      • 소나무 흙 덮어주기 (16)
HomeGuest글쓰기관리
  • 사노라면 451
    • 동네의 변화 27
    • 변화의 매혹 39
  • 웃으면복이와요 12
  • 메리크리스마스 62
  • 나들이예찬 456
    • 동네나들이 286
    • 나라안나들이 72
    • 나라밖나들이 60
    • 그 산길을 따라 15
    • 도시의 섬 11
    • 먹고마시고자고 12
  • 볼영화는많다 503
    • 상상의힘 118
    • 유머 45
    • 감독 53
    • 배우 84
    • 장소 18
    • 시대 16
    • 원작 24
    • 음악춤그림 4
    • 애니 32
    • 성적 다양성 36
  • 고양이가좋아 236
    • 우리 아파트 고양이 27
    • 직접만난고양이 123
    • 책-그림-사진-영화 속 고양이 54
    • 고양이소재물건 29
  • 즐거운책벌레 262
    • 여행걷기 13
    • 에세이 77
    • 만화 5
    • 역사 3
    • 소설 138
    • 예술 7
    • 그림책 3
  • 먹는 행복 150
    • 아침식사 7
    • 점심 저녁식사 85
    • 간식 브런치 디저트 33
    • 대접받은채식요리 12
    • 차 12
  • 재활용의지혜 23
    • 종이공작 4
    • 바느질 11
  • 놀고배우고 43
    • 음악과 더불어 0
    • 흙그릇 2
    • 녹색손 25
    • 소나무 흙 덮어주기 16

검색 레이어

산삐아노의 꿈놀이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나들이예찬

  • 크리스마스 이브 하천가

    2023.12.25 by 산삐아노

  • 야요이 쿠사마, '헬로 안양 위드 러브'(APAP 2007)

    2023.10.05 by 산삐아노

  • [신과 성신을 위한 의자] 제의적 공간을 위한 작품

    2023.07.22 by 산삐아노

  • 수원화성, 창룡문(동문)에서 북수문, 북옹성, 서북각루까지

    2023.06.26 by 산삐아노

  • 익산 미륵사지석탑 모형(수원, 2023.5.30)과 복원중(2017.7.1.)인 익산미륵사지석탑

    2023.06.18 by 산삐아노

  • 화성행궁 맛촌 공방거리

    2023.06.18 by 산삐아노

  • 마이클 주 [중간자](APAP5)

    2023.06.16 by 산삐아노

  • 안양예술공원 공공예술프로젝트 작품들5:'지상의 낙원' '웰컴 캐노피' '안양상자의 집' '먼곳을 바라보는 남자' '용의 꼬리' '전환점' '무제(가브리엘 시에라)'

    2023.06.15 by 산삐아노

크리스마스 이브 하천가

어제, 크리스마스 이브 오후, 하천가를 천천히 걸었다. 눈이 아직 녹지 않았다. 백로떼가 찾아와서 하천가의 황량한 모습에 생기를 준다. 12월말, 1월초면 우리 하천가에는 백로떼가 찾아오곤 한다. 세 무리 정도 온 것 같다. 백로들, 자태도 곱다. 며칠간의 맹추위를 잊게 하는 겨울 오후. 날씨만으로도 행복한데 백로들까지... 크리스마스 선물처럼 느껴졌다. 하늘의 구름까지도 너무 아름답다.

나들이예찬/동네나들이 2023. 12. 25. 09:42

야요이 쿠사마, '헬로 안양 위드 러브'(APAP 2007)

나들이예찬/동네나들이 2023. 10. 5. 19:39

[신과 성신을 위한 의자] 제의적 공간을 위한 작품

안양시에서 새로이 다시 시작한 스탬프 투어에 참여하기 위해 4원소의 집을 찾아갔다가 독일작가의 작품 [계란은 삶의 의미를 찾는 나의 여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이 있는 쪽으로 내려가려다가 마음을 바꿔서 다른 길을 찾아보기로 했다. 사람이 걸은 흔적이 있는 길로 걸어들어가다 보니까 APAP의 또 다른 작품을 만났다. 나이지리아 작가인 올루 오귀베(Olu Oguibe)의 [신과 성신을 위한 의자]였다. 마치 제단 같았다. 큰 바위 위에 거울이 올려져 있다. 그 거울에는 산이 비치고 있었다. 작품설명을 살펴보니까 대지의 여신, 태양신, 삼성산을 상징하는 세 성인을 기리는 작품이라고 한다. 예상대로 제의적 의미를 담은 작품이었다. 그리고 신을 위한 비밀스러운 장소를 원했다는 작가의 의도는 성공한 것 같다. 이 ..

나들이예찬/나라안나들이 2023. 7. 22. 17:04

수원화성, 창룡문(동문)에서 북수문, 북옹성, 서북각루까지

간단한 점심 도시락

나들이예찬/나라안나들이 2023. 6. 26. 12:07

익산 미륵사지석탑 모형(수원, 2023.5.30)과 복원중(2017.7.1.)인 익산미륵사지석탑

수원행공 공방거리를 나와서 집으로 돌아가려는데 멀리 금빛 탑이 보였다. 넓은 광장에 왜 탑 설치물? 가까이 다가가서 보니까 익산 미륵사지 석탑을 모방해서 만든 탑이라고 한다. 익산 미륵사지석탑에 관한 설명이 있다. 국보 제 11호, 미륵사에 있는 백제말기(7세기)의 화강석 석탑이라고 한다. 7세기 이전에 유행하던 목탑양식을 돌로 재현한 탑이라고. 그런데 왜 수원화성 근처에 익산 미륵사지석탑을 재현해 둔 걸까? 이 탑을 보다 보니까, 수 년전에 익산에 가서 익산 미륵사지 석탑을 복원중이던 광경이 떠올랐다. 아래 사진들은 2017년 7월 1일 오후에 익산 미륵사지 석탑을 보기 위해 들렀을 때 찍었던 사진들이다. 익산 미륵사지석탑은 쌍탑으로 동탑은 복원되었고 서탑이 복원중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로부터 6년이..

나들이예찬/나라안나들이 2023. 6. 18. 16:46

화성행궁 맛촌 공방거리

나들이예찬/나라안나들이 2023. 6. 18. 16:43

마이클 주 [중간자](APAP5)

마이클 주의 작품[중간자]는 2016년 APAP5회 작품으로 지금껏 보지 못했던 것이었다. 안양사에서 [정령의 숲]으로 이어지는 무장애길 중간에 있었다.신기하게 생겼다.마치 우주생명체와 교신이라도 하려는 듯하다.이 작품은 안테나와 해시계를 연상시킨다고 설명하고 있다.피뢰침 역할을 한다고.과연 제대로 피뢰침 역할을 하는 걸까?

나들이예찬/나라안나들이 2023. 6. 16. 18:26

안양예술공원 공공예술프로젝트 작품들5:'지상의 낙원' '웰컴 캐노피' '안양상자의 집' '먼곳을 바라보는 남자' '용의 꼬리' '전환점' '무제(가브리엘 시에라)'

가을에 이 작품을 찍어서 포스팅했을 때와는 주변 풍경이 완연한 차이를 보인다. 공공예술프로젝트의 설치예술품의 묘미는 계절, 날씨 등의 변화에 따른 차이를 느껴보는 것에 있다고 본다.극락정토 '안양'을 재해석한 작품.가을에 찍은 사진보다 주변 나무들이 더 푸르러서 그런지 더 생기있어 보인다.쉼터라고 하지만 이곳에서 쉬고 싶지는 않다.작년 가을에 왔을 때도 2023년 3월까지 출입금지라는 푯말과 함께 이 작품 안에 들어가볼 수 없었다. 그리고 스탬프도 찍을 수 없었다. 그런데 스탬프는 찍을 수 있도록 위치를 옮겨두었다. 하지만 여전히 안에 들어갈 수 없는 점은 마찬가지.아무래도 앞으로 이 작품 속에는 들어가 볼 수 없을 것 같다.다시 상자를 쌓지 않는 한.  이미지 왜곡을 보여주는 작품들인데, 작년 가을에는..

나들이예찬/나라안나들이 2023. 6. 15. 16:5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57
다음
TISTORY
산삐아노의 꿈놀이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